건강질환62 치매의 치료과 경과 예방가이드 노년의 퇴행성 질환 치매의 치료과 경과 합병증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료 치매의 치료방법은 아직까지 개발된 것이 없으며, 증상을 천천히 진행하도록 하는 약물들을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연을 위해 상요하는 약제들을 평균적으로 6개월에서 2년 정도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제로는 치매환자의 뇌에서 감소하고 있는 물질인 아세틸콜린(신경전단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어, 비교적 초기나 중등도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진행된 치매에서는 NMDA수용체 길항제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약제는 뇌신경세포의 파괴를 감소시켜, 뇌의 인지기능과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중등도 이상으로 발전된 치매에서는 약물적.. 2022. 12. 19. 치매 초기증상과 검사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는 지금 퇴행성 질환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치매.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 중 약 9% 정도가 치매환자일 정도로 비율이 높고, 고령화로 가고 있는 지금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정의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서서히 발병하며, 인지기능과 기억력이 점진적으로 떨어지면서 악화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발병하게 만드는 가장흔한 질환으로 독일 신경정신과 의사 알츠하이머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습니다. 발병 초기에는 최근 일어난 일애 대한 기억력 저하를 보이다가 진행되면서 판단력과 언어기능, 인지기능 등의 장애를 보이다가 결국에는 일상생활을 할 수 없어지게 됩니다.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뇌조직을 검사하면 뇌위축소견과 함께 특징적인 신경반(neuriti.. 2022. 12. 18. 성조숙증 검사와 치료 요즘 아이를 키우시는 부모님들의 걱정거리! 성조숙증이 아닐까 싶습니다. 최근 들어 아이들의 성장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정상적인 발육이 맞는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 같아 오늘은 성조숙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 보통은 아이에서 어른의 몸이 되어가는 2차성징 여아의 경우 유방 발육과 음모와 겨드랑이 털 등이 자라고 초경을 경험하게 되는데 평균적인 나이 만12세보다 매우 빠른 만 8세 이전에 보이는 경우를 말합니다. 남아의 경우는 만9세이전에 음경 및 고환의 성장 음모와 겨드랑이 털이 자라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많은 부모들이 성조숙증을 염려하는 이유는 뼈의 성장이 제대로 갖추어지기 전에 2차 성징이 빠르게 나타남으로 인해 성장이 종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아의 경우는 유방의.. 2022. 12. 17. 루게릭병의 초기증상과 원인 정의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질환으로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허약감(weakness)과 근육위축으로 병이 진행되면, 호흡근의 마비 등으로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성비를 보면 50대 중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1.5~2.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병이 처음으로 기록으로 남은건 1830년이며, 1939년 미국 메이저 리그 야구선수 루 게릭이 이병을 앓고 죽음에 이르면서 정식 질환 명인 근위축성 측 상 경화증이 루게릭병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원인 10만명당 1~2명이 발생하는 희귀 난치병으로 10% 환자에서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유전성 질환이나 가족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나머지 90% 환자에서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고 있지 않습니다. .. 2022. 12. 1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