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의 날씨와 코로나의 영향으로 실내 생활이 익숙해져 버린 일상! 어느 날 갑자기 몸이 무거워짐을 느끼신다면, 몸에 필요이상의 지방이 쌓이고 있는 것일 수 있어요. 단순히 몸이 무거워지는 것을 넘어 여러 질환을 가져올 수 있는 비만! 위험성을 인지하고 생활방식을 바꾼다면 탈출할 수 있어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만이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과체중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로 체질량지수 BMI(Body Mass Index 체중 kg를 신장 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고 근육량이 많고 지방이 적은 경우는 비만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오랜기간 신체활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분을 많이 섭취하여 소비하지 못한 영양분이 쌓이면서 생기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는 다양한 약제들에 의해서 식욕을 증가시키거나, 쿠싱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질환, 식욕중추에 문제가 생긴 경우들에서도 발생하게 됩니다.
현대에는 디저트 문화나 인스턴트 식품들이 많아 대부분이 고칼로리를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움직임이 적은 실내생활이 많아 비만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만이 위험한 이유는 다양한 합병증등을 유발하기 때문이고, 처음 시작은 대부분이 자각 증상이 없으므로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에 심각성을 인지하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소아 비만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소아비만이 흔한 영양 장애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섭취하는 칼로리보다 에너지 사용이 부족에 과잉으로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으로, 컴퓨터 게임, 모바일기기 사용, TV시청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 신체활동은 줄어들고 식이는 고지방 고칼로리, 잦은 외식과 배달음식등의 원인으로 발생된다고 생각됩니다.
소아비만의 기준은 체질량지수가 같은 나이대 아이들과 비교 시 백분위수로 85~94.9에 속하는 경우를 과체중, 95백 분 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질병이 없이 생기는 비만을 단순비만, 질병으로 인한 경우를 병적비만으로 분류합니다.
비만아의 경우는 같은 또래의 아이들에 비해 약간 키가 크지만, 사춘기가 빨리 오는 경향이 있어 최종 키는 일반인들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소아비만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소아기의 비만이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고, 이로 인해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지방간, 고콜레스테롤증, 우울증, 불임등의 여러 가지 문제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또래와 다른 신체 조건들로 신체상의 불만족등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습관 개선등을 통해 건강한 신체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남성 비만
국내의 남성비만은 2008년 이후 매년 조금씩 증가하다가, 코로나를 겪은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08년과 2021년 단순 비교만 해보아도 35.9%에서 44.8%로 증가폭이 확연하며, 코로나 유행인 2020년 이후로는 30대와 40대 남성의 미만율이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남성의 비만의 경우는 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여러 만성질환등을 유발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전립선 암과 그에 따른 사망률에도 크게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비만인 남성이 전립선 암에 걸릴 경우 정상체중의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남성에 비해 34%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 비만
여성에게 비만이 나타날 경우는 과잉된 지방이 체내에 쌓이기 시작하면서 이 체지방이 여성호르몬의 생성을 촉진시켜 에스트로겐의 양이 과다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다해진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자궁에 근종이 생기는 환경이 생성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난임등 여러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부 비만
활동량이 적고 영양분의 섭취량이 많아지면서 복부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말하며, 오랫동안 앉아서 생활하면서 복부미만의 될 가능성이 높고, 배는 늘어날 수 있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더 비만이 일어나기 쉬운 부위입니다.
복부비만을 진단하려면 숨을 크게 들이마신 후 내뱉은 후에 배꼽을 기준점으로 잡아 둘레가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이면 복부비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이 일반 비만보다 위험한 이유는 전체적인 비만에 비해 근육량이 적은 경우가 많아, 음식물을 섭취했을 경우 지방을 덜 소모시키므로, 몸속 장기 내부나 장기사이에 내장지방이 쌓이면서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발생시킵니다.
그 외에도 전립선비대증, 대장암, 위식도역류, 수면무호흡, 요실금, 우울감, 하지정맥류등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일으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비만의 탈출법에 관한 정보를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23년 새해 비만 관리, 비만약, 내장비만 빼는 법 2-2
안녕하세요. 23년 새해 가장 이루고 싶은 목표는 무엇인가요? 저도 매년 결심은 하지만, 지키기 어려운 다이어트 아닌가 싶습니다. 과체중의 상태가 오래 지속될수록 비만으로 갈 위험성도 커지
dreamjyoung.com
#새해다이어트 #비만탈출 #남성비만 #소아비만 #복부비만 #과체중 #비만위험성 #에스트로겐 #자궁근종 #전립선암
'건강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직성 척추염 증상, 원인, 진단 총정리 2-1 (0) | 2023.01.11 |
---|---|
23년 새해 비만 관리, 비만약, 내장비만 빼는 법 2-2 (0) | 2023.01.10 |
면역세포 생산자 비타민D 고르는 법 (0) | 2023.01.08 |
2023년 놓치면 손해보는 국가 생애주기별 검진 총정리 2-2 (0) | 2023.01.07 |
2023년 놓치면 손해보는 국가건강검진 총정리 2-1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