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겨울방학이 된 초등학생 자녀를 두신 부모님들! 지금 가장 걱정거리가 무엇인가요? 학교 가는 스케줄이 빠지니 너무 많은 유튜브와 미디어 게임에 빠져있지 않나요? 아이들이 미디어에 많이 반복 노출되다 보니 길거리 지나다 보면 어린아이들이 안경을 쓰고 다니는 걸 보는 일이 어렵지 않은데요~ 코로나로 인해 마스크에 안경에 ㅜㅜ 집에 들어올 땐 하얀 김서림으로 너무 불편해 보이잖아요!. 이럴 때 잘 때만 껴도 되는 교정렌즈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드림렌즈 란?
근시나 난시등으로 시아가 흐려지는 경우 교정용 안경을 쓰게 되는데요 성장기의 아이들은 친구들과 야외활동도 많고 지금처럼 코로나로 인해 마스크까지 껴야하는 상황에서 안경까지 착용하는 일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닌데요. 시력교정과 편리함까지 한꺼번에 해결하는 것이 드림렌즈입니다.
특수 콘택트렌즈로 안과에 방문하여 전문의 검사와 진단에 따라 처방을 받는 렌즈로 수면 시 렌즈를 끼고 자면 자는 동안 각막의 형태를 변화시켜 근시, 난시의 진행을 조정하거나 감소시켜 활동하는 낮시간동안은 시력교정의 효과를 보는 렌즈를 말합니다.
눈의 중심부를 눌러 근시, 난시가 교정되는데 안압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착용 전 정확한 시력검사와 안압체크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장점
잘 때만 렌즈를 착용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시력이 안경을 낀 것처럼 밝게 보입니다. 라식을 받기 어려운 소아나 청소년기에 착용하수 있고, 부작용도 관리만 잘한다면 없는 편입니다. 수영장이나 야외활동 시 안경을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매일 착용을 하더라도 2~3일 정도 착용을 멈춘다면 다시 원래의 시력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단점
수면 시 강제로 눈을 누르는 방식으로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안압이 올라갈 수 있고, 금액이 다소 비쌉니다.(90만 원~130만 원 사이) 세척 시 분실의 위험이 있으니 밝은 곳에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렌즈를 매일 세척해야 하는데 너무 약하게 하면 단백질이 침착될 수 있고, 강하게 하면 굴곡이 무뎌져 두경우 다 적절한 교정시력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아침 렌즈를 뺄 때 시간이 걸리고 인공눈물을 적당히 취한 후 빼지 않고 건조한 상태에서 힘으로 빼는 경우 눈의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위생상의 문제로 길게 사용하지 못하도 대체로 5년 안에 교체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생깁니다. 적당한 연령은 밤사이 과교정으로 인해 시력교정이 나타나는 것이므로 조절력이 좋은 소아나 청소년기에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인도 착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소아나 청소년에 비해 조절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는 덜 보이거나 눈의 피로를 많이 느낄 수도 있습니다.
드림렌즈 주의점
잘 보였던 렌즈가 혼탁해 보이면 오염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의 후 착용을 권합니다. 눈에 충혈이나 통증이 발생한다면 염증반응일 수 있으니 착용하지 않고 병원에 방문하여야 합니다.
렌즈가 중심부에서 벗어나 자꾸 이탈한다면, 안과 방문 후 재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아침에 눈곱이 많이 끼거나, 가렵다면 눈의 염증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대로 항생제를 복용하거나 안약을 점안 후 휴식기를 거쳐 렌즈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매일 밤 끼고 자야 교정이 되는 드림렌즈!! 눈에 닿는 것인데~ 염증을 일으키지 않으려면 세척이 중요하겠죠? 어떻게 세척을 해야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림렌즈 세척법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분실의 위험이 있으니 세면대 마개를 닫은 후에 분실방지 그물등을 올려줍니다. 손바닥을 오므린 상태로 렌즈를 올려 세척액을 2~3방울 떨어뜨린 후 반대쪽 손 네 번째 손가락로 한 방향으로 살살 문질러서 세척합니다.
세척이 끝나면 흐르는 물에 충분히 헹구어서 보관함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렌즈를 세척할 때 오염이나 파손의 문제가 있으므로 초등학생 자녀이거나 어린 경우는 부모님이 대신해 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건강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질까지 떨어뜨리는 불면증 극복하는 법 총정리 (0) | 2023.01.19 |
---|---|
여행시 비상! 메르스 시기와 증상 치사율까지! (0) | 2023.01.18 |
틀니 없이 건강한 치아를 위한 치주질환 총정리 (0) | 2023.01.15 |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법과 과잉시 문제점 총정리! (0) | 2023.01.14 |
알기 쉽게 정리한 단백질의 모든 것! 놓치면 손해~ (0)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