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상장지수펀드)는 이제 한국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가장 인기 있는 투자 수단 중 하나입니다. 특히 S&P500이나 나스닥100처럼 글로벌 주요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누구나 한 번쯤 투자해보고 싶어 하는 대표 상품이죠.
그런데 고민이 생깁니다.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데, 국내 상장 ETF를 사는 게 좋을까? 아니면 미국에 직접 상장된 ETF를 사는 게 유리할까?”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국내 ETF와 미국 ETF를 여러 관점에서 비교하고, 실제 시뮬레이션 결과까지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ETF vs 미국 상장 ETF 주요 비교
- 수익률: 미국 ETF는 초저보수(연 0.03% 수준) 덕분에 추적 오차가 거의 없습니다. 국내 ETF는 보수가 다소 높아(연 0.07~0.1%) 장기적으로 수익률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유동성: SPY, QQQ 같은 미국 ETF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거래되는 상품입니다. 반면 국내 ETF는 거래대금이 수백억~수천억 원 수준으로 제한적이지만, 대형 ETF 위주로는 충분히 안정적입니다.
- 세금: 미국 ETF는 해외주식으로 분류되어 양도차익 22% 과세가 발생합니다(기본공제 250만 원 제외). 반면 국내 ETF는 양도차익 비과세, 대신 분배금에만 15.4% 과세됩니다.
- 환전: 미국 ETF는 달러 환전이 필요해 환전 수수료 및 환율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국내 ETF는 원화로 바로 거래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습니다.
정리하면, 수익률·유동성은 미국 ETF, 세금·편의성은 국내 ETF가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0년 투자 시뮬레이션: 매달 100만 원씩 S&P500 투자
보다 현실적인 비교를 위해, “매달 100만 원씩 10년 동안 S&P500 ETF에 투자했을 경우”를 시뮬레이션했습니다.
환율 변동 효과는 제외하고, 순수하게 수익률·보수·세금만 반영했습니다.
- 총 투자 원금: 1억 2천만 원
- 연평균 수익률: 8%
- 미국 ETF 운용보수: 연 0.03%
- 국내 ETF 운용보수: 연 0.1%
- 세금:
- 미국 ETF: 양도차익 22% 과세
- 국내 ETF: 양도차익 비과세, 분배금 15.4% 과세 (배당률 2% 가정)
구분 | 최종 자산 (세전) | 최종 자산 (세후) | 총 투자 원금 | 세후 수익 |
---|---|---|---|---|
미국 상장 ETF (VOO, IVV) | 177,151,986 원 | 164,578,549 원 | 120,000,000 원 | 44,578,549 원 |
국내 상장 ETF (TIGER, KODEX S&P500) | 170,825,373 원 | 168,530,904 원 | 120,000,000 원 | 48,530,904 원 |
결과적으로 세전 기준으로는 미국 ETF가 더 높았지만, 세금을 반영하면 국내 ETF가 오히려 더 많은 최종 자산을 만들어냈습니다.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 세금 구조 차이가 장기 성과를 좌우
미국 ETF는 세전 수익이 높지만, 양도차익 22% 과세로 최종 자산이 크게 줄었습니다.
국내 ETF는 배당세만 부담하면 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서 세금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 보수 차이보다 세금 효과가 더 크다
연 0.07% 수준의 보수 차이보다, 양도세 과세 여부가 최종 결과에 훨씬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환율 리스크는 별도의 변수
이번 계산에서는 환율을 제외했지만, 실제 투자에서는 환차익·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화 약세라면 미국 ETF가 유리하고, 원화 강세라면 국내 ETF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ETF와 미국 상장 ETF는 각각 장단점이 분명합니다.
장기 투자 + 절세 최적화 → 국내 상장 ETF
초저보수 + 글로벌 직접투자 → 미국 상장 ETF
따라서 한국 투자자라면, 연금저축·IRP 계좌에서는 국내 ETF를 활용해 절세하고,
일반 과세계좌에서는 미국 ETF를 병행해 글로벌 직접투자를 경험하는 전략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를 멈추고 기준을 세우다: 40대 재정 생존 전략 (3) | 2025.09.18 |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말 효과가 있었을까? (5) | 2025.08.05 |
세제개편안 발표 이후 코스피 폭락…정부 정책이 자본시장을 혼란에 빠뜨린 이유 (4) | 2025.08.04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5) | 2025.08.03 |
스테이블코인이 바꾸는 세계 금융의 판도: 미국의 코인 3법 통과와 그 의미 (1) | 2025.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