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5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저하증 갑상선이란? 인체에 있는 내분비선 중 가장 크며, 대체로 만져지거나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이상이 생기면 육안으로보커진부위를 관찰할 수 있고 만져지는 경우도 있다. 날개를 편 나비 모양을 하고 있고 갈색을 띠며 무게는 30~60g으로 개인마다 약간의 차이가 난다. 갑상선이 분비하는 호르몬은 티록신이며, 다량의 아이오딘을 함유하고 있다. 인체에 있는 아이오딘의 3/5이 갑상선에 함유되어 있다.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아이오딘을 이용해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만들어 체내에 내보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길 시 발생하는 질환이 갑상선 기능 항진증(그레이브스) 갑상선 기능 저하(하시모토 갑상선염), 갑상선 결절 등이 생길 수 있다. ● 갑상선 기능 항진증.. 2022. 11. 20. 고혈압의 증상과 원인 기준 고혈압의 정의와 기준수치 고혈압은 혈압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만성 질환을 말한다. 동맥을 지나는 혈류의 관류의 압이 높아지는 현상으로 합병증을 유발한다 ▷ 고혈압의 기준 수치 국내 판정기준은 안정 시 혈압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정상 : 수축기 혈압 120mmHg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 전 고혈압단계 : 120~139/80~89 1단계 고혈압 : 140~159/90~99 2단계 고혈압 : 160/100 이상 각 나라마다 기준수치가 약간은 다를 수 있고, 우리나라는 140/90부터 대한 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을 따라 진단하고 있다 고혈압이 문제되는 이유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심부전, 뇌졸중, 치매 등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고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어 주의깊게 정기적으로 확인하지 못할 시 .. 2022. 11. 20. 협심증 증상과 치료 협심증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줄어들면서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허혈 상태에 있는 것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 협심증의 종류 1) 동맥경화증 으로 만성적으로 협착이 일어나 생기는 협심증을 (만성)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안정형 협심증에서는 운동, 활동의 증가로 발생하고 흉통이 발생하고 안정시 감소된다. 2)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급작스럽게 생기는 협심증을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2022. 11. 20. 부정맥의 증상과 원인 치료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은(Heart arrhythmia, cardiac dysrhythmia)로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의 혈액 방출 활동은 심장의 수축과 확장(이완)의 반복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심장의 수축은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심장근육(심근) 세포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어야 일어나는데, 심장이 자극 생성을 제대로 할 수 없어 전도가 일어나지 않을 때, 맥박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지나치게 빠르거나, 늦거나 혹은 부정맥이라고 하며, 심할 경우 심방의 맥박이 분당 350~600회까지 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가리켜 '심방세동'이라고 한다. ● 부정맥의 증상 보통의 사람들의 경우 심장은 늘 뛰고 있으나, 자각하지 못하는 반면 부정맥 환자들의 경우 심박수가 규칙적이지 않거나 빠르게.. 2022. 11. 19.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