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질환

영유아 코로나 예방 접종 백신 맞은 후 주의 해야 할 증상

by 꿈제이 2023. 2.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로나 예방 백신 접종이 2023년 2월 13일 영유아에게도 실시하게 되었는데요. 접종의 필요성과 적극권고하는 대상과 주사 후 주의를 요하는 증상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요성

 

지금까지 코로나19유행 7차가 끝나는 시점에 왜 영유아에게 코로나 접종을 권장하는지 궁금해하는 부모님들이 많으실 텐데요, 지금까지의 데이터를 종합해 보면 영유아(6개월~4세까지)의 아이들이 큰아이들보다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입원율과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위험성이 더 크다고 판단됩니다.

 

2023년 1월 기준 국내누적 코로나 관련 영아 사망수가 17명으로 특히, 고위험군은 더 위험하다고 판단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이 유행하던 시기 코로나19 감염 영유아 100명중 73명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음이 확인되어 권고되고 있습니다.

 

 

영유아 고위험군의 정의

 

 

심각한 면역저하자 :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 중인 경우, 혈액암등 항암치료를 하고 있는 경우,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경우, 장기이식 환자 또는 HIV감염 환아, 골수 또는 조혈모 세포이식을 한 환아, 만성폐질환과 장질환 신질환, 중증 뇌성마비 또는 다운증후군등으로 생활 활동에 도울이 필요한 경우와 의사의 판단에 의해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입니다.

 

 

접종대상은 6개월에서 4세 영유아와 특히, 고위험군은 적극 권고 하고 있습니다.

 

 

 
출처 Unsplash

 

 

안정성

 

영유아용 화이자백신은 식약처의 안전성을 검증을 거쳐 품목허가된 백신으로 미국에서 실제 접종한 결과 대부분 일반적인 이상 사례만이 보고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5~11세 접종 후 이상사례 신고율은 다른 연령대의 부작용보다 약 4배 낮았습니다.

 

 

 

영유아 백신 접종 방법

 

사전예약 온라인으로 보호자 대리예약을 합니다. http://ncvr.kdca.go.kr

당일접종은 의료기관에 직접 전화 연락하여 예비명단에 등록후 접종합니다.

현장접종의 경우는 사전예약 없이 또는 타 진료 목적으로 의료기관 방문 시 현장에서 접종가능 합니다.

 

8주(56일) 간격으로 총 3회 접종을 시행합니다. 또한, 다른 예방접종과 동시 접종이 가능합니다. 

 

 

접종기관

 

영유아접종 지정 위탁의료기관 목록은 1월 30일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영유아의 경우 접종의 안전성 및 이상반응 모니터링 및 예진표 작성을 위해 보호자 또는 법정대리인의 동반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코로나19 예방 접종 전후 주의사항

 

건강상태가 좋을때 의사의 예진을 받고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특정 약물이나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 아나필락시스가 있었던 경우는 의사에게 미리 말을 하여야 합니다. 발열 37.5도 이상이거나 코로나 감염이 의심될 때는 접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 후에는 의료기관에 15~30분간 머무르면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하고 귀가 후에도 3시간 정도는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평소와 다른 신체반응이 있을 경우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접종부위의 통증이나 발적, 부기, 발열, 피로감, 근육통,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이나 얼굴 눈 또는 입술 입안의 부종의 경우는 심한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일 수 있으므로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가슴통증, 압박감, 숨이 빨라지거나 두근거리는 증상, 실신의 경우에도 의사의 진료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