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질환

자궁경부암의 치료합병증과 예방방법

by 꿈제이 2022. 12. 26.
반응형

치료 합병증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정기검진을 받는것이 중요합니다.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초기에는 3개월에 한 번씩 혈액검사와 함께 영상의학검사 필요시 조직검사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정기를 접어들면 이후에는 6개월마다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재발과 전이를 판정합니다.

 

치료 후 합병증 급성기에는 방사선치료로 인한 장운동 증가로 인해 복통과 함께 설사가 발생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을 때마다 복통과 설사의 강도와 횟수 또한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항암치료로 인해 구역, 구토, 속 쓰림 등이 나타날 수 있고 항암제와 방사선치료를 병용하는 환자들은 그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항암제와 방사선치료에 반복적인 증상이 있을시는 의사와 상의 후 치료 전 완화하는 약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빈뇨와, 혈뇨, 소변을 볼때 배뇨통을 느낄 수 있고, 피부가 벗겨지거나 염증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성 합병증으로는 방사선이나 항암제 치료 종료후 수개월이 지나 나타나고 지속되는 기간이 몇 년간 있는 경우도 종종 보고되고 있습니다. 구토와 탈수 복부팽만등이 나타날 수 있고 빈혈이 심해 수혈이 필요한 환자들도 있습니다. 요도 협착으로 인한 혈뇨나 방광으로 누공이 생겨 질이 탈출하기도 하기 때문에 비뇨기과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예방

 

비교적 조기에 진단할 경우 예후가 좋은 암으로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검진을 하는것이 완치율을 높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병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 발견된다면 완치율 또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방법으로는 성병을 예방하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고, 첫 성교 연령을 늦추는 것이 좋으며, 파트너도 다수인것은 좋지 않습니다. 출산이나 성접촉이 있었던 여성들은 1년 간격으로 산부인과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출처 : pixabay

 

예방백신

 

 

원인균인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것으로 국내에는 2가, 4가, 9가 백신 세종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을 약 70%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며, 기전은 HPV에 대한 면역성을 만들어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는 예방 백신입니다. 

 

시판되고 있는 백신은 2가(서바릭스), 4가(가다실), 9가(가다실9)로 2가는 (고위험군 HPV 16,18), 4가는  (고위험군 HPV 16,18 저위험군6,11), 9가는 4가 백신에 HPV 31,33,45,52,58까지 추가하여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접종대상은 9~25세의 여성및 남성으로 이상적인 접종시기는 성경험 시작 시전에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성경험이 있더라고 다른 유형의 HPV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기 때문에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을 남성도 접종하는 이유는 성기암, 항문암, 두경부 종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성매개로 HPV바이러가 전파되는 경우가 많아 남성에서 예방접종을 시행한다면, 전체적인 감염을 낮출 수 있어 남성도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만12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무료접종 2회를 시행 중입니다. 임신기간 중에는 백신 접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경우 주사부위의 출혈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자궁경부암 증상과 치료

정의 자궁의 입구인 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대표적인 여성암중 하나입니다. 암이 되기 전단계인 전암단계를 상당기간 동안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암단계로는 정상조

dreamjyoung.com

 

 

 

 

 

 

 

 

반응형

'건강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초기증상과 진단  (0) 2022.12.31
인플루엔자 독감과 격리  (0) 2022.12.30
자궁경부암 증상과 치료  (0) 2022.12.25
어린이 사시의 증상과 수술  (0) 2022.12.22
치매의 치료과 경과 예방가이드  (0) 2022.12.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