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여성 전체의 역 1/3에서 평생 한번 이상은 발생한다는 요로감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
원래 요로에는 자정작용이 있어 정기적인 소변의 배출로 세정되어 세균이 증식 정착할 수 없으며, 세균의 정착과 증식을 막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요로계 신장, 방광, 요관, 요도, 전립선 등에 미생물이 침입하여 생기는 감염을 말합니다. 요로 중 어느 부위에 감염되었는지에 따라 병병이 달라지며, 방광의 감염증은 방광염 요도의 감염증은 요도염, 신장의 감염증은 신우신염이나 콩팥염이라고 합니다.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방광염은 질과 요도 주위에 있는 병원균이 방광으로 들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험인자
요도가 짧고 질(Vigina)에서 다양한 균이 서식하기 때문에 여성이 취약하고, 임신, 치질과 당뇨, 척수손상 반복적인 요로감염증의 기왕력이 있는 사람이 더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비감염적 염증과 균에 의한 감염으로 나뉩니다.
비감 염적 원인에는 - 방사선 노출, 간질성 방광염, 약물적 원인 등이 있습니다.
균에 의한 감염에는 요로감염증의 80%에서 대장균이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부생 성포도 상구균(S. saprophyticus)과 장내 구균(Enterocococus spp), 엔테로박터(Enterobacter), 효모(Yeast), 슈도모나스, 클렙시엘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소변을 볼 때 아랫배가 아픈 배뇨통을 느끼게 되고 화끈 거르는 작열감(burning)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급료와 빈뇨, 혈뇨 등을 동반할 수 있으며 발열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진단
일단 요로감염증이 의심될 때에는 소변검사를 시행하게 되는데, 청결한 중간뇨를 받아 요검사(Urinalysis)를 통해 다양한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요배양 검사를 통해서 원인균을 찾아내 동정 균에 맞는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요검 사상 백혈구가 10/ul 이상 발견될 경우는 농뇨(Pyuria)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세균뇨는 요검사상 1 organism/OIF 이상의 균이 발견될 경우 세균뇨(bacteriuria)로 진단합니다.
소변검사상 상피세포가 나올 경우는 요도의 감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패혈증이 의심될 때에는 혈액배양검사를 시행하여 치료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
치료
단순한 급성 방광염의 경우에는 배양검사가 나오기 전 우선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보통 사용하는 항생제는 경구약으로 박트림을 3일간 복용하게 됩니다.
임신을 한 여성 환자에게는 페니실린계 항생제를 7~10일간 투여합니다.
남성 환자에 경우는 항생제를 7일 이상 투여하고 치료를 종료하게 되며, 2주 안에 다시 재발하게 된다면 배양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알맞은 항생제를 2주간 충분히 투여합니다.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3일간 열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CT 검사나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요관이 막힌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지와 신장 주위 농양 등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합병증
당뇨병이나 방관 요관 역류, 임신 등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그룹에서는 합병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방광이외로 퍼지면 신우신염(Pyelonephritis), 요로 성패 혈증(Urosepsis), 전립선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활 가이드라인
만약 반복적으로 요로감염을 일으킨다면 잘못된 생활습관 등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기능적인 비뇨기계의 이상 해부학적인 이상이 없다면, 생활습관의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평상시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생활을 하고 용변 후에는 앞에서 뒤로 닦는 습관과 성교 후에는 바로 소변을 보는 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나트륨이 많은 식품 냉동식품, 생선이나 육류의 캔류 가공제품, 김치, 장아찌, 고추장, 된장, 소시지, 햄 베이컨 등은 수산화나트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요로결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이므로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칼슘약제나 함유된 식품도 결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다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건강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시신경염 (0) | 2022.12.05 |
---|---|
이석증의 증상과 운동 치료법 (0) | 2022.12.04 |
자가면역질환 다발경화증원인과 치료 (0) | 2022.12.02 |
부비동염(축농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 (0) | 2022.11.30 |
천식의 증상과 치료 증상 완화에 좋은음식 (0) | 2022.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