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AI시대, 불확실성에 맞서는 나만의 생존 전략: 레디코어로 삶을 재설계하다

by 꿈제이 2025. 10. 27.
반응형

1) 레디코어란 무엇인가: ‘준비(Ready)’가 ‘핵심(Core)’이 되는 삶

레디코어는 말 그대로 준비된 상태를 삶의 최우선 가치로 두는 태도입니다. 예전의 ‘갓생’이 하루 루틴을 촘촘히 다지는 점(點) 작업이었다면, 레디코어는 그 점들을 선(線)으로 연결해 길(로드맵)을 만드는 일에 가깝습니다. 핵심은 미래를 예측하는 게 아니라, “예측 불가능성 자체를 견디는 준비된 나”를 만드는 데 있어요.

“어떤 상황이 오더라도 나는 이미 준비되어 있어.”
불확실성 속에서 낭비되는 시간·감정·돈을 줄이고, 기회가 왔을 때 바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목표로 합니다.

2) 왜 지금 한국에서 레디코어인가

① 빠른 기술 변화와 AI의 일상화

채용·업무·창작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AI가 보조자이자 경쟁자로 등장했습니다. “내 업무가 대체될까?”라는 불안은 자연스럽게 역량 업데이트리스크 분산에 대한 관심을 밀어 올립니다.

② 경기·고용의 변동성 체감

금리·물가·부동산·노동시장 변동이 자주 뉴스가 되는 환경에서, 반응형(사후) 대응보다 선제형(사전) 대비가 유의미한 차이를 만듭니다. 비상자금·보험·투자 구조와 같은 재무 안전장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로 다가옵니다.

③ ‘예약 경제’와 ‘계획의 산업화’

맛집부터 전시, 병원, 피트니스까지 예약이 기본값이 되었습니다. 일정·목표를 관리하는 생산성 도구(예: Notion, 캘린더, GTD)도 생활 인프라처럼 자리 잡았죠. 준비가 습관이 되고, 습관이 산업과 연결되며, 다시 개인의 시간을 확장시킵니다.

3) 레디코어 실천: 삶의 4대 축을 시스템으로 만든다

아래 표는 제가 실제로 분류해 쓰는 기본 구조입니다. 가장 불안한 축부터 정비하면 시행착오가 줄어듭니다.

준비 영역 핵심 목표 구체적 실천 도구/지표
커리어 대체 가능성↓, 전이 가능성↑ AI·자동화 툴 학습, 포트폴리오 리빌드, 자격증·나노디그리, 사이드 프로젝트·부업 파일럿 Notion 프로젝트 대시보드, 30·60·90일 역량 로드맵, 월 1회 레주메 업데이트
재무 현금흐름 안정화, 리스크 분산 6~12개월 비상자금, 지출 카테고리 리밸런스, ETF/연금 비중 설정, 소득원 다각화 현금흐름 시트, 목표저축률(예: 30%), 포트폴리오 드리프트±5% 규칙
건강 에너지 기반 체력 확보 주 3회 근력+유산소, 수면 7시간, 주 1회 10분 명상, 정기검진 캘린더화 RHR/HRV 기록, 10k 걸음 주간 합, 카페인·알코올 컷오프 시간
관계/정체성 지지망·의사결정 기준 확립 분기별 멘토링, 네트워킹 1:1 미팅, 가치·경계(바운더리) 문서화 분기 목표 회고 노트, ‘예/아니오’ 체크리스트, 고충 상황 대응 스크립트
TIP. 한 번에 다 바꾸지 마세요. 각 축에서 가장 임팩트 큰 한 가지만 먼저 시스템으로 만들면 유지 확률이 급상승합니다.

 

4) 30·60·90일 레디코어 액션 플랜 (한국 직장인 버전)

첫 30일: 기반 다지기

  • 커리어: 내 업무의 AI 대체 가능 & 보완 가능 포인트를 진단(리스트 10개).
  • 재무: 비상자금 목표액 설정(월 고정비 × 6~12), 자동이체 구축.
  • 건강: 수면 고정 수면시간+기상시간 정하기(주 5일).
  • 관계: 나의 가치·경계 선언문 1페이지 작성.

다음 60일: 가속 & 가시화

  • 커리어: 사이드 프로젝트 1개 시작(주 3시간 캘린더 블록).
  • 재무: 투자 정책서(IPS) 1페이지 작성, 자산배분 퍼센트 고정.
  • 건강: 월·수·금 근력, 화·토 가벼운 유산소 루틴 고정.
  • 관계: 월 2회 네트워킹(아침 커피 30분) 예약 습관화.

90일: 리밸런싱 & 공개 약속

  • 커리어: 성과·배움을 1페이지 ‘분기 리포트’로 정리해 링크드인/블로그에 공개.
  • 재무: 포트폴리오 드리프트 점검(±5% 넘으면 리밸런싱).
  • 건강: 5km 걷기/러닝 챌린지 완수, 수면 중간 각성 빈도↓ 기록 비교.
  • 관계: 나의 ‘예/아니오’ 기준 점검, 과부하 일정 다운사이징.

유지 장치: 실패 대비 설계

  • 3일 이상 끊기면 리셋 시나리오 실행(가장 쉬운 습관부터 재시작).
  • 월 1회 ‘정지 주간’: 목표 정렬·장비 점검·데이터 백업·가계부 리셋.
  • 분기 1회 리스크 리뷰: 소득·직무·건강 리스크 목록 업데이트.

5) 도구 세팅: 오늘 당장 만들 수 있는 최소 시스템

① 캘린더 블로킹 (예약 경제 활용)

  • 성장 블록: 주 3회 60분—AI/자동화 툴 학습 or 포트폴리오 갱신.
  • 돈 블록: 주 1회 30분—지출 태깅, 투자 리딩 리스트 점검.
  • 몸 블록: 주 3~5회—근력/유산소, 야외 20분 걷기.
  • 사람 블록: 주 1회—관계 유지 1:1 커피 챗 예약.

② 노션/엑셀 대시보드

  • KPI 카드: 저축률·운동 빈도·수면시간·러닝 합계·네트워킹 횟수.
  • OKR·로드맵: 30·60·90일 목표와 주간 체크박스.
  • 리스크 로그: 예상 리스크, 영향도/확률, 대응 플랜.

③ 콘텐츠 & 이력 공개

  • 월 1회 블로그 ‘분기 리포트’를 통해 오픈 루프를 만들기(책임감 장치).
  • 프로필/링크드인에 ‘현재 배우는 것’ 리스트 공개—기회 연결 확률↑.

6) 레디코어의 빛과 그림자: 균형의 기술

장점

  • 예상치 못한 충격에 대한 회복탄력성 향상.
  • 기회 발생 시 즉시 실행이 가능(심리적 관성 감소).
  • 불안 감소 & 주도감 상승—결정 피로가 줄어듦.

주의점

  • 준비병—준비가 실행을 대체하지 않도록 출시 마감일을 둔다.
  • 완벽 통제 욕구는 우연의 보너스를 빼앗을 수 있다.
  • 지속가능성 체크—루틴 총량이 생활 에너지 한도를 넘지 않게.
NOTE. “준비하되 유연하게.” 계획을 매달 10%씩 재설계하는 가변 계획이 오히려 오래 갑니다.

7)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 (복붙용)

  • [나의 4대 축 스코어(10점 만점): 커리어 __/10 · 재무 __/10 · 건강 __/10 · 관계 __/10
  • [90일 후 ‘원하는 나’를 한 문장으로: “__________”
  • 이번 분기 핵심 3가지: (1) __________ (2) __________ (3) __________
  • 예약한 성장 블록(요일/시간): __________ / __________
  • 비상자금 목표 & ETA: __________원 / __________(개월)
  • 리스크 로그에 새로 추가한 항목 2개: __________ / __________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