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질환

협심증 증상과 치료

by 꿈제이 2022. 11. 20.
반응형

협심증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줄어들면서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허혈 상태에 있는 것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출처 : Pixabay

 

 




● 협심증의 종류


1) 동맥경화증 으로 만성적으로 협착이 일어나 생기는 협심증을 (만성)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안정형 협심증에서는 운동, 활동의 증가로 발생하고 흉통이 발생하고 안정시 감소된다. 


2)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급작스럽게 생기는 협심증을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으로 정의하며, 흉통이 예고없이 발생하며, 안정을 취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3) 죽상경화병변이 문제 될 정도의 협착이 아니나 혈관의 연축에 의해 혈류 장애로 발생하는 변이형(이형성) 협심증(Variant Angina)이라고 한다.

관상동맥 혈관의 경련이 원인으로 안정시에도 발생할 수 있고 심근의 산소 요구도보다는관상동맥의 경련과 관련되어 있다.

 




● 협심증의 증상



대부분의 환자가 활동시나 운동 시에 발생하는 통증을 호소하고 그 느낌으로는 "쥐어짠다"  "속이아프다" "가슴 이쓰리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호흡곤란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왼쪽팔과 등으로 퍼지는 방사통을 갖는 게 특징적이다. 

흉통은 대개 5분에서 30분정도를 지속하며 혈관확장제 니트로 글린 세린 설하정을 투여 시 통증이 소실되거나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만약, 약제투여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진전되어 실신이나 갑작스런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경우는 급성으로 심근허혈이 발생했을 위험이 높다.

 



● 협심증의 진단


관상동맥조영술
심장초음파
방사선동위원소 검사
병력 확인
심전도
혈액검사


기본적인 환자의 병력 청취와 심전도를 기본으로 다양한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다.


심장초음파를 통해 심장기능을 파악하고 심장에 있을수 있는 다른 질환과도 감별이 가능하다.


또한, 수술이나 시술이후 예후에 평가를 할 수 있는 도구이기도 하다.


환자는 통증을 느꼈으나, 초음파에서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는 가만히 누워서 휴식을 취하며 시행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여 확인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심장에 부하를 가하여 관상동맥의 기능을 파악하는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할수도 있다. 


심혈관조영술은 도관으로 혈관 내 협착의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검사 도중 필요한 경우는 치료적인 스텐트삽입술이나 심혈관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할 수도 있다.

 




● 협심증의 원인


관상동맥 안을 흘러가는 혈액 속에 만성적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될시, 동맥경화반이 생기고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증이 잘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협착으로 관상동맥의 70% 이상이 막히게 되면 심근의 일부가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어 관상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흉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협심증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잘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 인자

- 가족력: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은 경우

- 고혈압: 혈압이 140/90mmHg보다 높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 고령

- 흡연

- 당뇨병

- 이 외에 비만, 운동부족 등

 



협심증의 치료



약물치료과 협착이 심한 혈관은 넓혀주는 관헐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① 관헐적 치료


관헐적 치료에는 심혈관 성형술및 스텐트 삽입술 등이 있다.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에 심혈관조영술을 시행하며 폐색이나 협착된 혈관을 찾아 가느다란 도관을 사용하여 병변 부위를 풍선으로 펴주거나 철망의 구조를 하고 있는 스텐드로 혈관을 넓히는 시술을 하는것이다. 

병변 혈관의 상태가 좋지 않거나 관헐적치료가 적절하지 않을시는 개심술을 통한 관상동맥우회술을 할 수도 있다.

스텐트를 삽입한 경우는 혈관내 혈전이 생겨 다시 막히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하여 아스피린과 고지혈증 등을 처방할 수 있고, 응급상황을 대비해서 환자에게 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이 처방될 수 있다

 

② 약물 치료


관상동맥의 폐색이 70%이하이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며 혈관확장제와 고지혈증의 약들을 처방받아 복용하며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한다.


응급약품 니트로글리세린을 상비하고 다니며 응급상황 시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게 응급 시 약물을 혀 아래로 넣어주세요! 적힌 카드를 가지고 다니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협심증의 합병증



치료를 하지 않을경우 심근경색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다. 

협심증의 원인인 동맥경화증이 진전되면서 동맥경화반을 파열시켜 심근경색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휴식 시에도 흉통이 발생하고 점점 심해지는 것은 불안정형 협심증일수 있으므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고 심근경색으로 발전하게 되면 심장기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 협심증의 예방방법과 생활가이드



유발인자를 인지하고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금연과 매일 가벼운 운동 저지방 식사와 신선과 채소류의 섭취가 권장되고 저염식사를 하는것이 좋다. 

 

염분 섭취도 줄이는 것이 좋다. 

 

국이나 찌개 탕이나 기름기가 많은 삼겹살과 닭껍질 대신, 등 푸른 생선을 육류를 대체해서 먹는 것이 좋다. 

 

이형성 협심증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스트래스를 해소하여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

 


체중을 감량하는것도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