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협심증관리 #협심증진단 #협심증예방밥법 #협심증생활가이드 #니트로글리세린1 협심증 증상과 치료 협심증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줄어들면서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허혈 상태에 있는 것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 협심증의 종류 1) 동맥경화증 으로 만성적으로 협착이 일어나 생기는 협심증을 (만성)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안정형 협심증에서는 운동, 활동의 증가로 발생하고 흉통이 발생하고 안정시 감소된다. 2)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급작스럽게 생기는 협심증을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2022. 11. 20. 이전 1 다음